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, 정부는 고물가·고금리 대응을 위한 ‘민생회복지원금’을 전국민에게 지급할 예정입니다.
서울시민 역시 지역과 소득에 따라 최대 6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, 사용처와 지급 방식은 지역화폐·카드 포인트 등으로 제공됩니다.
📌 서울도 포함! 민생회복지원금 대상자 기준
이번 지원금은 전국민 보편 지급으로, 서울 포함 전 지역 거주자 대상입니다.
단, 소득 상위 10%는 최소 지급(15만 원)만 받고, 나머지 약 90%는 추가 지급이 예정돼 있습니다.
💰 계층별 지급 금액 정리
계층 | 1차 지급 | 2차 추가 | 총합 |
소득 상위 10% | 15만 원 | - | 15만 원 |
일반 국민 | 25만 원 | +10만 원 | 35만 원 |
차상위 계층 | 40만 원 | +10만 원 | 50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50만 원 | +10만 원 | 60만 원 |
📅 지급 시기 및 신청 일정
- 1차 지급: 2025년 7월 중순 시작 예정
- 2차 지급: 소득 하위 90% 대상, 추석 전까지 완료 목표
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판단이 이뤄질 예정입니다.'
🏧 지급 방식 및 사용처
서울 시민은 제로페이 지역사랑상품권, 선불카드, 또는 신용·체크카드 포인트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사용 가능 업종은 생계형 매장 위주로 제한되며, 아래와 같습니다.
- ⭕ 사용 가능: 동네마트, 전통시장, 병원, 약국, 학원 등
- ❌ 사용 불가: 백화점, 대형마트, 면세점, 유흥업소 등
유효기간은 약 4개월로, 지급 후 빠르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📌 서울 시민 요약 정리 카드
✔️ 지급 대상: 서울 포함 전국민 (소득 상위 10% 제외)
✔️ 최대 금액: 1인 최대 60만 원 (기초수급자 기준)
✔️ 지급 수단: 제로페이 상품권, 카드 포인트, 선불카드
✔️ 사용처 제한: 전통시장 등 생계형 업종만 가능
✔️ 지급 시기: 7월 중순~추석 전 순차 지급
🔎 마무리 요약
서울시민이라도 소득 요건이 충족되면 최대 60만 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
정책은 국회 추경 예산 통과 후 본격 집행되며, 지급 수단은 소비촉진을 유도하는 지역화폐 기반입니다.
지급이 시작되면 조기 마감될 가능성도 있으니, 반드시 확인하고 신청하세요.